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건강 관리

"우리 강아지 다리가 이상해요!" 슬개골 탈구란 무엇일까? (1편: 정의, 원인, 증상)

by postman 2025. 4. 21.

강아지가 슬개골이 아파서 지팡이를 짚고 걸어요.
아고~ 다리야. 슬개골이 아파요.

 

안녕하세요! 반려견의 걸음걸이 하나하나에 신경 쓰는 세심한 보호자님들! 🐾

 

혹시 우리 강아지가 산책 중에 갑자기 한쪽 뒷다리를 들고 깨금발로 뛰거나, 평소 잘 오르던 소파에 올라가기를 주저하는 모습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런 모습은 특히 소형견에게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정형외과 문제, '슬개골 탈구(Patellar Luxation)' 의 대표적인 신호일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시작될 <강아지 슬개골 탈구 완전 정복 시리즈> 에서는 많은 보호자님들이 걱정하시는 슬개골 탈구에 대해 속 시원히 파헤쳐 보겠습니다. 그 첫 시간으로, 슬개골 탈구가 정확히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떤 증상들을 보이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무릎뼈가 제자리를 벗어난다? '슬개골 탈구'란? (Definition)

우리 사람과 마찬가지로 강아지의 무릎 관절 앞쪽에는 '슬개골(Patella)' 이라는 작은 접시 모양의 뼈가 있습니다. 이 슬개골은 허벅지 뼈(대퇴골) 끝에 있는 '활차구(Trochlear groove)' 라는 깊은 고랑(홈) 안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면서, 무릎을 굽히고 펼 때 부드럽게 위아래로 움직이는 역할을 합니다.

슬개골 탈구는 바로 이 슬개골이 정상적인 활차구 고랑에서 벗어나(빠져나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위치가 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슬개골 위치
강아지 슬개골 위치

  • 내측 탈구 (Medial Patellar Luxation, MPL): 슬개골이 무릎 안쪽으로 빠지는 경우로, 소형견에서 압도적으로 흔하게 발생합니다.
  • 외측 탈구 (Lateral Patellar Luxation, LPL): 슬개골이 무릎 바깥쪽으로 빠지는 경우로, 대형견에서 비교적 더 자주 보입니다.

슬개골 모양
강아지 슬개골 위치.모양

슬개골이 얼마나 쉽게 빠지고 원래 자리로 돌아오는지, 항상 빠져 있는지 등에 따라 심각도를 1기부터 4기까지 등급으로 나누는데, 이 '등급'에 대해서는 2편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 왜 우리 아이에게? 슬개골 탈구의 '원인' (Causes)

슬개골 탈구는 왜 생기는 걸까요? 안타깝게도 대부분은 태어날 때부터 어느 정도 원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유전적 / 선천적 요인 (가장 흔한 원인!) 🧬

  • 소형견에서 대부분: 특히 말티즈, 푸들, 포메라니안, 요크셔테리어, 치와와, 시츄 등 작은 품종에서 슬개골 탈구가 잘 발생하는 것은 유전적으로 타고난 뒷다리 구조의 형태 이상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 구조적 문제들:
    • 얕은 활차구: 슬개골이 있어야 할 고랑(활차구)이 선천적으로 너무 얕아서 슬개골이 쉽게 빠져나옵니다.
    • 뼈의 변형: 허벅지 뼈(대퇴골)나 정강이뼈(경골)가 휘어져 있거나 비정상적인 각도를 이루는 경우.
    • 근육 및 인대 정렬 이상: 슬개골에 연결된 근육(대퇴사두근)과 인대의 정렬이 틀어져 슬개골을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2. 외상성 요인 (드문 원인) 💥

  •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의 외상으로 인해 무릎 주변의 인대나 조직이 손상되어 슬개골 탈구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선천적 소인이 없는 건강한 개에서 외상만으로 탈구가 생기는 경우는 비교적 드뭅니다.

👀 이런 모습 보이면 의심! 슬개골 탈구 '증상' (Symptoms)

슬개골 탈구의 증상은 탈구의 심각도(등급), 기간, 통증 유무, 관절염 진행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초기나 경미한 단계에서는 증상이 거의 없거나 간헐적으로 나타나 보호자가 알아채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 간헐적인 파행 / 깽깽이걸음 (Intermittent Lameness / Skipping): 가장 특징적인 증상! 잘 뛰어가다가 갑자기 한쪽 뒷다리를 들고 깨금발로 몇 발짝 뛴 후, 다시 다리를 내리고 정상적으로 걷거나 뛰는 행동을 반복합니다. (슬개골이 빠졌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남)
  • 다리 들고 있기 (Holding Leg Up): 탈구된 상태가 유지되거나 통증이 있을 때 다리를 땅에 딛지 않고 계속 들고 있으려 합니다.
  • "토끼 뜀" (Bunny Hopping): 뒷다리 두 개를 동시에 모아서 토끼처럼 깡충깡충 뛰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계단을 오르거나 빨리 뛸 때)
  • 점프 주저 / 활동성 감소: 소파나 침대, 차에 뛰어오르거나 내려오는 것을 망설이거나 아예 하지 않으려 합니다. 산책이나 놀이를 예전만큼 즐기지 못하고 활동성이 줄어듭니다.
  • 무릎에서 '뚝' 소리: 다리를 움직일 때 무릎 관절 부위에서 '뚝'하고 걸리는 소리나 느낌이 날 수도 있습니다.
  • 통증: 탈구가 반복되거나 관절염이 동반되면 무릎을 만지거나 움직일 때 통증을 느끼고 깨갱거리거나 피할 수 있습니다.
  • 관절염 발생: 만성적인 슬개골 탈구는 슬개골과 활차구의 연골을 손상시켜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 을 유발합니다. 관절염이 진행되면 다리를 저는 증상이 더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뻣뻣함, 통증 등이 심해집니다.

오늘은 강아지 슬개골 탈구가 무엇인지, 왜 생기는지, 그리고 어떤 증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 아이가 혹시 위에 언급된 증상들을 보인다면 슬개골 탈구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물병원에서는 어떻게 슬개골 탈구를 정확히 진단하고, 그 심각도를 어떻게 판단할까요? 다음 <강아지 슬개골 탈구 시리즈 2편> 에서는 슬개골 탈구의 진단 방법과 1기부터 4기까지의 '등급'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중요 안내 > 본 글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반려동물의 상태에 대한 전문적인 수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려견의 건강 문제나 질병이 의심될 경우에는 반드시 가까운 동물병원을 방문하여 수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2025.04.21 - [반려동물 건강 관리] - 절뚝이는 모습, 혹시? 슬개골 탈구 진단과 심각도 '등급' (2편: 진단 방법, 그레이딩 1~4기)

 

절뚝이는 모습, 혹시? 슬개골 탈구 진단과 심각도 '등급' (2편: 진단 방법, 그레이딩 1~4기)

안녕하세요! 우리 아이의 작은 걸음걸이 변화도 놓치지 않으려는 보호자님들! 에서 슬개골 탈구가 무엇인지, 왜 생기는지, 그리고 어떤 증상을 보이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깽깽이걸음, 다리 들기

pet-post.tistory.com

 

댓글